일상심리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선택 장애, 우리는 왜 이렇게 고민할까? 식당에 가서도 선택장애로 고생하는 사람 많지. 많은 선택지 앞에서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경험이 있지? 사실 이런 현상은 심리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 오늘은 의사결정과 관련된 세 가지 심리적 이론을 소개할게.1. 선택의 역설(Paradox of Choice)선택의 역설은 선택지가 많아질수록 오히려 만족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해. 선택지가 너무 많으면 우리는 선택에 대한 부담감이 커지고, 결국 선택한 후에도 "다른 선택을 했어야 했나?"라는 후회를 하게 돼.온라인 쇼핑몰에서 수십 개의 상품 중 하나를 골라야 할 떄, 선택하기 힘들고 나중에 더 나은 선택이 있었을 것 같다고 후회하는 경우가 바로 이 현상이야. 2. 후회 회피(Regret Aversion)후회 회피는 선택 후 후회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 더보기 타인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의 의견과 행동에 많은 영향을 받아. 이런 심리적 현상을 설명하는 몇 가지 흥미로운 이론들을 알아보자.1. 동조(Conformity) 동조는 다수의 의견이나 행도엥 맞춰 자신의 행동을 바꾸는 경향을 말한다. 심리학자 솔로몬 애쉬(Solomon Asch)는 유명한 실험을 통해 사람들은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면서도 다수의 의견에 따른느 경향이 있다는 걸 증명했어.친구들이 모두 한 음식을 먹자고 하면, 자신은 그 메뉴가 별로라고 생각해도 괜히 그 메뉴를 고르게 되는 경우가 있지. 이게 바로 동조의 대표적인 사례야. 2. 방관자 효과(Bystander Effect)길에서 누군가 사고를 당했을 때, 주위에 사람들이 많으면 "다른 사람이 신고하겠지."라고 생각하고 그냥 지나친 적 있지? 이게 방관.. 더보기 우리가 쉽게 빠지는 심리적 함정 : 바이아스(bias) 일상에서 결정을 내리거나 다른 사람을 평가할 때 우리는 종종 '바이아스(편향)'라는 함정에 빠진다. 오늘은 몇 가지 대표적인 바이아스를 살펴볼게.1.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 확증 편향은 자신이 믿고 있는 정보를 확인하려는 경향이야. 예를 들어, 정치적 입장을 지지하면 그 입장을 뒷받침하는 정보만 더 찾아보고 반대되는 정보는 무시해버리지. 사람들은 자신이 이미 가진 믿음을 강화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어.또, 내가 좋아하는 브랜드의 상품은 항상 좋다고 생각하고, 그 브랜드의 단점에 대한 리뷰는 그냥 넘겨버리는 경우가 있지. 이게 바로 확증 편향이야. 2. 후광 효과(Halo Effect)후광 효과는 어떤 사람의 한 가지 긍정적인 특성이 그 사람의 전체를 긍정적.. 더보기 결정의 심리학 일상에서 우리는 매일 수많은 결정을 내린다. 오늘 점심은 무엇을 먹을까? 어떤 여오하를 볼까? 이런 작은 결정들을 때로는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래서 오늘은 결정 괒어에서 작용하는 심리학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1. 자기 효능감 : 자신이 잘 할 수 있다는 믿음결정을 내릴 때, 내가 그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이 진짜 중요하다. 자기 효능감은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는 확신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친구랑 새로운 식당에 가기로 했을 때, "나 이거 잘 고를 수 있어!"라고 생각하면 훨씬 자신감있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자기 효능감은 앨버트 반두라가 이야기한 개념으로, 이 믿음 강하면 더 도전적인 결정을 내리게 된다. 2. 사회적 증거 : 주변의 행동이 나를 이끈.. 더보기 알람 소리만 들어도 스트레스 받는 심리학적 이유? 아침마다 알람 소리 들으면 기분 나빠지고, 괜히 피곤함이 더 느껴지지? 그럴 때마가 '왜 이렇게 알람 소리가 듣기 싫을까?' 생각한 적 있어? 사실 이건 단순한 짜증이 아니라, 심리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 오늘은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들에 대해 알아보자. 1. 고전적 조건형성 : 파블포르의 개알람 소리만 들어도 기분이 나빠지는 건 고전적 조건형성 때문이야. 고전적 조건형성은 외부 자극과 특정 반응이 연결되는 과정을 말하는데, 심리학자 이반 파블로프의 유명한 개 실험에서 시작됐어.파블로프는 종소리와 음식을 계속 연관시키면서, 나중에는 종소리만 들어도 개가 침을 흘리게 만들었지. 여기서 종소리(조건 자극)가 음식을 재신하는 자극이 된거야. 우리 일상에서도 알람 소리가 '일어나야 하는 고통스러운 시간'과.. 더보기 이전 1 다음